Summary
Korean summary
식사시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근거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고혈압이 있는 성인의 늦은 식사와 혈압 조절, 심장대사 위험인자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늦은 식사와 혈압 조절의 독립적 연관성은 찾지 못했지만, 늦은 식사는 높은 체질량지수, 혈중 지질 농도와 연관성을 보여 식사 시간 조정이 고혈압 환자의 예후 개선을 위한 유용한 대책이 될 수 있으리라는 근거를 지지한다.
Key Messag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late eating is associated with blood pressure (BP) control an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mong Korean adults with hypertension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8. We did not find an independent association between late eating and BP control among Korean adults with hypertension, but found that late eat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BMI and a higher blood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s, independent of potential confounders. Our findings support the suggestion that a time-based dietary approach can be used as a useful strategy to improve the prognosis of adults with hypertension.